부가가치세 신고 해야 한다면 세금 신고할 때 공급가액 공급대가가 혼동될 수 있습니다. 헷갈린다면 각 용어의 영어를 생각해 보면 보다 이해가 됩니다. 공급가액 영어로는 value of supply이고, 공급대가는 amount of supply입니다. 공급가액은 공급 자체의 순수한 금액을 말하며, 공급대가는 부가세 포함 금액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공급가액 계산 방법은 공급대가에서 부가가치세 10%를 빼면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퍼센트 계산은 일반 덧셈 뺄셈과 조금 다른데요. 공급가액 계산 공식부터 알아보도록 할게요.
공급가액 계산 공식
일반 상품 가격에 부가세가 붙어 있습니다. 10%가 붙어 있지만 제외를 하려면 단순 덧셈, 뺄셈이 아니라 나눗셈을 이용해야 합니다.
- 공급가액 = 공급대가 / 1.1
비율에 대한 금액이므로, 공급대가에서 1.1로 나누면 공급가액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 부가가치세 세액 계산을 하려면 공급가액에 0.1을 곱하면 됩니다. 공급가액 계산부터 세액 계산까지 과정이 복잡하다 생각이 들면,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도와주는 공급가액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
공급가액 계산기
부가세 포함된 공급대가 금액을 입력하면,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